728x90
JavaScript에서는 모든 숫자가 IEEE-754 부동소수점 방식의 Number 타입으로 처리됩니다. 그래서 내부적으로는 소수점이 있는 숫자라도, 연산 결과가 정수처럼 보일 때는 불필요한 “.0” 부분이 생략되어 출력됩니다. 오늘은 이런 상황에서 정수 결과에 소수점 표시(예: 694993.0)를 강제로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기본 원리
JavaScript의 Number 타입은 내부적으로 모두 부동소수점 숫자입니다.
예를 들어, 아래와 같이 연산하면 실제 값은 부동소수점이지만, 출력 시에는 불필요한 0이 생략됩니다.
const a = 744993.0;
const b = 50000;
const result = a - b;
console.log(result); // 출력: 694993
위 코드의 결과는 694993으로 나오는데, 이는 JavaScript가 기본적으로 정수 부분만 출력하기 때문입니다.
toFixed() 메서드 활용
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, toFixed() 메서드를 사용하여 소수점 이하 자릿수를 명시적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.
toFixed(1)을 사용하면, 결과를 소수점 이하 1자리까지 문자열로 변환할 수 있어, 아래와 같이 원하는 출력 형식(예: “694993.0”)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.
const a = 744993.0;
const b = 50000;
const result = a - b;
console.log(result.toFixed(1)); // 출력: "694993.0"
주의:
• toFixed() 메서드는 숫자를 문자열(String)로 반환합니다.
• 만약 이후 연산을 계속 진행해야 한다면, 문자열을 다시 숫자로 변환하거나 다른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.
LIST
'Develo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ostgreSQL 윈도우 함수: 복잡한 분석을 간단하게 해결하는 강력한 기능 (2) | 2025.03.20 |
---|---|
[JavaScript] 숫자 콤마 표현할 때 소수점 표시하는 방법 (0) | 2025.03.20 |
[JavaScript] 선택적 체이닝(Optional Chaining) 연산자: 코드를 더 안전하고 간결하게 만드는 방법 (1) | 2025.03.19 |
[Thymeleaf] 타임리프에서 핸드폰 번호 형식 변환하기 (1) | 2025.03.13 |
[Thymeleaf] Map 데이터 출력 및 활용하기 (1) | 2025.03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