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늘은 JavaScript에서 숫자 포맷팅 시 소수점 자릿수를 강제로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기본적으로 JavaScript의 toLocaleString() 메서드는 불필요한 소수점 이하 0을 생략하는 특성이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아래와 같이 12345.0을 포맷팅하면:
const value = 12345.0;
console.log(value.toLocaleString('ko-KR')); // 출력: "12,345"
숫자 12345.0은 소수점 이하가 0이기 때문에 “12,345”로만 표시됩니다.
하지만 때때로 숫자를 항상 소수점 한 자리까지, 즉 “12,345.0”과 같이 보여주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.
toLocaleString() 옵션 활용하기
JavaScript의 toLocaleString() 메서드는 옵션 객체를 통해 출력 형식을 상세하게 지정할 수 있습니다.
여기서 중요한 옵션은 minimumFractionDigits입니다.
이 옵션을 1로 지정하면 정수라도 최소 소수점 이하 1자리는 항상 표시됩니다.
아래 예시를 확인해 보세요.
const value = 12345.0;
const formattedValue = value.toLocaleString('ko-KR', { minimumFractionDigits: 1 });
console.log(formattedValue); // 출력: "12,345.0"
위 코드를 통해, 소수점 이하가 0이더라도 “.0”이 표시되어 원하는 포맷대로 숫자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추가 옵션: 최대 소수점 이하 자리수 설정
만약 소수점 이하 자리수를 제한하고 싶다면 maximumFractionDigits 옵션도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, 소수점 이하 1자리로 고정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.
const value = 12345.678;
const formattedValue = value.toLocaleString('ko-KR', {
minimumFractionDigits: 1,
maximumFractionDigits: 1
});
console.log(formattedValue); // 출력: "12,345.7"
특히 금융 데이터나 통계 정보 등을 다루는 경우, 숫자의 자릿수 표시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.
toLocaleString()의 옵션 객체를 잘 활용하면, 정수에도 소수점 이하 자릿수를 강제로 표시하거나 필요한 자릿수로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습니다.
'Develo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현대 JavaScript 마스터하기: ES6+와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완벽 가이드 (1) | 2025.03.26 |
---|---|
PostgreSQL 윈도우 함수: 복잡한 분석을 간단하게 해결하는 강력한 기능 (2) | 2025.03.20 |
[JavaScript] 소수점과 정수를 연산 했을 때 소수점으로 결과 출력 (0) | 2025.03.20 |
[JavaScript] 선택적 체이닝(Optional Chaining) 연산자: 코드를 더 안전하고 간결하게 만드는 방법 (1) | 2025.03.19 |
[Thymeleaf] 타임리프에서 핸드폰 번호 형식 변환하기 (1) | 2025.03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