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 글 266

[vscode] 터미널에서 code . 명령어로 VSCode 실행하기

● VSCode 에서 code command PATH 설치하기터미널에서 code 명령어를 치면 vscode 가 실행 됩니다. 그런데 vscode 를 설치했다고 바로 사용가능한 것은 아닙니다. code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해 vscode 를 실행하고[cmmand + shift + p] 키를 누르고 아래 내용을 복사해서 붙여넣습니다install code command path그리고 code command path 를 install 하고 다시 터미널창에서 code 명령어를 사용하면 vscode 가 실행되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.아래처럼 code 명령어가 유효한 명령어로 바뀌어 녹색으로 표시되네요.뒤에 경로는 . 을 붙이면 현재 경로를 오픈하고 다른 경로를 오픈하고 싶을때는 절대경로를 적어주시면 됩니다.아래 터..

Develop/Settings.. 2024.06.18

Controller 의 리턴값으로 ModelAndView("jsonView") 사용할 때 해야하는 설정

● 오류 내용Error resolving template [jsonView], template might not exist or might not be accessible by any of the configured Template ResolversModelAndView mv = new ModelAndView("jsonView");Controller 리턴 값으로 ModelAndView("jsonView") 사용할 때 해줘야 하는 설정이 있습니다.아래 두가지 중에 한가지만 설정하시면 됩니다. 현재 사용하는 프레임워크 설정에 맞춰서 추가해 주세요 1. @Configuration@Configuration란? Spring 에서 Bean 등록할 수 있는 어노테이션 중 하나 입니다.@Configuration 어노테..

Develop/JAVA 2024.06.17

VSC (Visual Studio Code) 에 플러터 (flutter) 개발 코딩을 위한 세팅 및 플러그인 Extensions 설치

● VSC (Visual Studio Code) 설치이제 본격적으로 플러터 (flutter) 개발 코딩을 하기 위해서 개발툴을 설치해야 합니다. 플러터와 vsc 의 궁합이 너무 좋고 지원하는 플러그인 (extensions) 기능이 막강하기 때문에 vsc 로 플러터 개발을 시작하는걸 추천 드립니다. vsc 사이트에 접속 후 본인 장비에 맞는 설치프로그램을 다운 받아 설치 합니다. https://code.visualstudio.com Visual Studio Code - Code Editing. RedefinedVisual Studio Code is a code editor redefined and optimized for building and debugging modern web and cloud app..

Develop/Flutter 2024.06.17

플러터 Flutter 설치 및 개발환경 설정 - MAC 맥북

● 플러터(flutter) 란?플러터 (flutter)는 단일 코드베이스에서 모바일, 웹, 데스크톱 및 임베디드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테스트 및 배포를 할 수 있습니다. 쉽게 얘기하면 단일코드로 안드로이드, IOS 네이티브앱을 개발 배포할 수 있는 것이죠. 리액트 네이티브와 플러터 중 고민하다가 개발 생산성과 빌드 가능한 플랫폼이 다양한 플러터를 선택하게 되었습니다. ● 플러터(flutter) 설치저는 homebrew 를 이용해 플러터(flutter) 를 설치 합니다. homebrew 사용법은 밑에 링크 확인해주세요. 일단 플러터는 dart 언어를 사용해서 개발하기 때문에 플러터를 설치하면 dart 도 같이 설치가 됩니다. 만약 본인 장비에 dart 가 설치되어 있다면 삭제 후 플러터를 설치해 주셔야 합니..

Develop/Flutter 2024.06.17

MAC OS 맥북 iTerm2 설치 및 커스텀 꾸미기

● iTerm2 이란?iTerm2 는 터미널 프로그램 입니다. mac os 에서 사용가능하고 다양한 기능과 사용자에 맞춰 커스텀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mac os 에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는 터미널보다는 iTerm2 를 사용하는걸 추천 합니다. ● iTerm2 설치설치는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.공식 사이트 에 접속해서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해서 app 파일 다운 후 설치homebrew 를 이용해서 설치. homewbrew 사이트에서 iterm2 를 검색 후 나온 설치 명령어를 복사해서 터미널창에서 실행. homebrew 사용법은 아래 링크를 확인해 주세요brew install --cask iterm22024.06.15 - [Develop/MAC] - MAC OS 맥북 Homebrew 설치 및 설정 M..

Develop/MAC 2024.06.17

MAC OS 맥북 Homebrew 설치 및 설정

● Homebrew 로 무엇을 할 수 있나요?Homebrew는 Apple(또는 Linux 시스템)에서 제공하지 않는 유용한 패키지 관리자를 설치합니다.● Homebrew 설치Homebrew 사이트 (https://brew.sh/ko/) 접속 후 설치하기의 스크립트 복사를 누르고 터미널에 붙여넣고 엔터를 치면 설치가 됩니다./bin/bash -c "$(curl -fsSL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Homebrew/install/HEAD/install.sh)" ● Homebrew PATH 설정설치 후에 brew 명령어를 사용하면 없는 명령어라고 나옵니다 Homebrew 설치 후에도 path 를 설정해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. path 설정하기 echo 'export PA..

Develop/MAC 2024.06.15